![]() |
버려지는 부산물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북,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 육성 |
이번 간담회는 ‘전북대 글로컬대학30 지역상생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전북자치도를 비롯해 고창식품산업연구원, 전북대학교, 바이오융합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 ㈜금성상공 등 식품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실질적인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논의된 주요 내용은 ▲미강, 고구마 등 부산물 활용 제품 생산·판매 관련 규제 개선 방안 ▲농산·식품부산물의 기능성 원료화 기술 ▲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 방안 ▲위탁생산(OEM) 및 대기업 판로 확보 전략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특히, 업사이클링 제품의 생산·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행정적 규제를 해소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꼽혔다.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은 식품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산업으로, 환경 보호와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실현하는 미래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13억 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환경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글로벌 푸드 업사이클링 시장 규모는 2022년 530억달러(약 68조원)에서 2032년 833억 달러(약 107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2월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 육성을 위한 한국산업표준(KS)이 제정됐다. 이를 통해 ▲업사이클 식품 정의 ▲원료 요건 및 함량 기준 ▲부가가치 증명 및 공급망 관리 기준 등의 요구사항이 정립되며, 기술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북자치도는 농식품 부산물의 기능성 소재화를 통한 산업화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기업·연구기관과 협력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지난해 도내 시군별 푸드 업사이클링 자원 조사를 마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7년까지 총 10.5억원(3개년)을 투입해 '농식품 부산물 활용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업사이클링 산업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진안홍삼연고수는 가공효율을 높인 홍삼박 소재 개발에 나서며 홍삼박 소재를 활용한 축제와 관광 제품에 박차를 가한다.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의 경우 발효 유청을 소재로 하는 소스류 제품을 개발하고,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은 버려지는 콩나물콩을 활용한 소재화 및 제품화에 나선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식품 부산물을 기능성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개발 ▲산업화 기반 마련 ▲관련 기업 지원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며, 전북이 국내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의 선도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관련 기관 및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재용 전북자치도 농생명산축산산업국장은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만큼, 전북도가 선제적으로 산업을 견인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