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생강,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학술연구 세미나 개최
검색 입력폼
전라북도

완주생강,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학술연구 세미나 개최

봉동생강의 역사·문화·환경적 가치 재조명

완주생강,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학술연구 세미나 개최
[호남자치뉴스]전북특별자치도가 완주군, (사)지역활력센터, 전북대학교, 완주생강전통농업시스템보존위원회와 함께 19일 봉동읍 주민센터에서 ‘완주생강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위한 학술연구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완주생강 전통농업시스템이 가진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고,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위한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북자치도와 완주군 관계자,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업 전문가, 지역 주민 등 50여 명이 참석해,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이후 5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세미나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이지숙 사무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최명섭 팀장, 전북대학교 신병욱 교수가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이지숙 사무관은 ‘농업유산 관련 제도적 동향’을, 신병욱 교수는 ‘전통 한옥과 완주 시앙굴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발표했으며, 최명섭 팀장은 ‘봉동생강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품질인증제도 마련 방안’을 제안했다.

이어진 지정 토론에는 배재대학교 최종희 교수, 농촌진흥청 정명철 연구사, 한국농어촌공사 백승석 부장 등이 참여해 완주생강의 차별성과 세계적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완주생강 전통농업시스템은 2019년 제13호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전북자치도와 완주군의 지원 속에서 보존위원회를 중심으로 농업유산 활성화, 지역 기반 강화, 전통농법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해왔다.

특히, 보존위원회는 지난해 협력재단의 ‘농업농촌 지속가능 발전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환경지키미 아카데미 운영 ▲신상품 개발 ▲유통체계 마련 ▲도농상생 체험 프로그램 운영 ▲농업유산 거버넌스 구축 ▲학술연구 및 총서 제작 등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이러한 사업의 연장선에서 완주생강이 단순한 지역 특산물을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지속 가능한 농업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략을 마련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특히, 보존위원회 공동경작단이 추진한 전통 농법 복원 과정과, 서울 소재 대학생들로 구성된 사회적협동조합 ‘녹원’의 청년 농업유산 활동 사례가 발표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를 통해 완주생강이 과거의 유물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 세대가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살아있는 농업유산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최재용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완주생강 전통농법은 단순한 재배 기술이 아니라, 지역의 문화와 환경을 반영한 중요한 유산이다”라며,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통해 완주생강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지속 가능한 농촌 경제 활성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