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확대 간부회의에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한 팀장급 이상 간부공무원들이 실과별 핵심프로젝트, 민생안정사업, 올림픽 유치등 확대 간부회의를 갖고 있다 |
2018년 이후 7년만에 개최된 이번 회의는 도정 주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청원 간 정책 공감대 형성과 과장 중심의 책임행정 실현이라는 취지 아래 ▲2025년 메가 비전 프로젝트 ▲2025년 도정 핵심 프로젝트 ▲민생 안정 프로젝트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프로젝트 등 도정 주요 현안을 담당 부서장들이 직접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회의는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의 미래비전·지역 발전을 위한 분야별 대표 사업을 발굴하는 ‘메가비전 프로젝트’의 운영 계획과 향후 일정에 대한 보고로 시작됐다.
현장에서는 전체 실국이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업을 효율적으로 발굴해 프로젝트가 내실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의 취지와 발굴 방향에 대한 상세한 발표가 이뤄졌다.
이어 민선8기가 지역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강조해 온 △미래첨단산업 육성 △'전북특별법'특례 발굴 △주요 SOC 구축 △농생명산업 수도 조성 등 전북자치도의 주요 현안들의 성과와 추진 계획에 대해 담당 과장들의 보고가 뒤따랐다.
특히, 이차전지와 관련해 ‘지역의 연구역량 강화’, ‘인력양성 및 공급’, ‘기업지원’ 등 전 분야를 망라한 산업지원 계획이 제시되며 지역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북자치도만의 노력이 드러났다.
‘민생안정 프로젝트’에서는 경기 침체와 각종 안전사고 등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대한 도민의 우려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전북자치도가 중심을 잡고 민생을 챙기겠다는 의지가 나타냈다.
소상공인, 중소기업 지원 등을 위한 ‘민생 경제 종합대책’ 추진계획을 비롯해, 복지·안전 등 민생 관련 전반적인 사업 추진계획이 발표됐다. 도민의 민생을 안정시키려는 전북자치도의 다각적인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끝으로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지 선정에 도전하는 전북특별자치도의 대응 상황과 향후 붐업 계획에 대한 보고가 이뤄졌다. 28일 예정된 올림픽 개최 국내 후보지 선정 최종 발표를 앞두고 그간의 체계적인 준비 내용과 향후 홍보 계획에 관한 보고는 올림픽을 향한 전북의 열의를 보이고 후보지 선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게 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민생 안정을 위해 부서 내부에서 선제적으로 고민하고 행동하는 것도 좋지만, 타이밍을 놓쳐서는 안 된다”며, “도민의 입장에서 시의적절한 정책이 제공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는 행정을 달성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국·과장들, 팀장들을 비롯한 도청 구성원 모두가 중심을 잡고 한마음 한뜻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과장 중심의 책임행정 실현과 간부들의 ‘도정 원팀’ 구현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이번 확대간부회의를 계기로 2025년 도정 정책의 추진동력을 강화하고, 주요 현안들에 대한 도정 전반의 이해도를 높여 도정 원팀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