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불로 피운 광고, 성냥이 남긴 김제의 흔적’
검색 입력폼
김제

김제시, ‘불로 피운 광고, 성냥이 남긴 김제의 흔적’

2025년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이달의 소장품' 전시 개최

5월 이달의 전시
[호남자치뉴스]김제시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은 ‘5월 '이달의 소장품' 전시’로 ‘불로 피운 광고, 성냥이 남긴 김제의 흔적’ 기획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13일부터 오는 6월 15일까지 벽골제아리랑사업소 내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에서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지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일상에서 사용됐던 광고용 성냥 128점을 통해, 성냥이 단순한 발화 도구를 넘어 광고 매체이자 생활 문화의 매개체로 기능했던 다중적 면모를 조명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김제 지역의 ‘金萬産業社(금만산업사), O.B홀, 서원, 우산속, 一番地(일번지)다방, 봉봉다실’ 등 지역 업체들이 제작한 홍보용 성냥 11점이 포함되어 있어, 지역사 및 생활 문화사적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성냥은 19세기 후반, 일본을 통해 국내에 전래되고, 1886년 인천 제물포에 국내 최초의 성냥공장이 설립되며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됐다. 성냥의 대중화는 광복 이후에 이뤄졌으며, 20세기 중반까지 부엌의 취사, 사랑방의 흡연, 집들이 선물 등 다양한 일상적 용도로 활용되며 필수 생활용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광고 매체의 기능이 확장됐으며 음식점, 다방, 숙박업소 등에서 제작한 소형 성냥갑은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널리 활용됐다. 이에 따라 성냥을 수집하는 문화도 형성됐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라이터, 가스레인지, 보일러 등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광고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광고용 성냥은 점차 자취를 감췄고, 현재는 일부 수집가의 컬렉션 또는 박물관 전시를 통해서만 접할 수 있는 생활사 유물로 남게됐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이번에 공개된 광고용 성냥들은 단순한 생활용품을 넘어, 시대의 문화, 광고, 상업적 흐름이 집약된 귀중한 자료”라며 “특히 김제 지역업체의 흔적이 담긴 성냥 11점은 지역 생활 문화 연구는 물론, 한국 현대 생활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