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벼멸구 확산 차단 ‘총력’…사전 예찰·적기 방제 당부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
2025년 07월 14일(월) 10:35 |
![]() |
정읍시, 벼멸구 확산 차단 ‘총력’…사전 예찰·적기 방제 당부 |
최근 전남과 서해안 지역에서 벼멸구가 확인되면서 정읍시농업기술센터는 철저한 예찰과 조기 방제를 통해 피해 예방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확인된 벼멸구는 6월 17일부터 24일 사이 중국 남부에서 발생한 해충이 기류를 타고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읍 지역에서도 7월 13~15일 사이 성충 발생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된다.
벼멸구는 벼 줄기의 즙액을 빨아먹어 생육을 저해하고, 바이러스 매개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이다.
특히 기온 상승으로 세대 증식 속도가 빨라질 경우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어, 유충기에 등록 약제를 활용한 즉시 방제가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꼽힌다.
시 농업기술센터는 현재 지역 내 9개소에 벼 관찰포를 운영하며 공중포충망, 유아등, 포자채집기 등을 통해 병해충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조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예찰 시스템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영농철인 6~8월에는 읍면동별 현장기술지원단도 운영 중이다.
주요 병해충이나 이상기후 상황 발생 시에는 SMS와 언론보도 등을 통해 농가에 신속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하헌준 기술보급과장은 “벼멸구처럼 해외에서 유입돼 단기간 내 확산하는 해충은 사전 예찰과 조기 방제가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이라며 “농업인 여러분들께서는 평소 논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예찰 밀도가 높을 경우 즉시 방제에 나서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