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최중증 발달장애인 대상 통합돌봄 서비스 추진

도내 11개 시군 70여 명에 1:1 맞춤형 돌봄 제공… 보호자 돌봄 부담 완화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2025년 07월 09일(수) 10:16
전북특별자치도청
[호남자치뉴스]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 중인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가 시행 1주년을 맞았다. 가족의 돌봄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며 보호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안겨준 이 사업은 ‘삶을 바꾸는 돌봄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지적·자폐성 장애인 중에서도 자해·타해 등 도전적 행동이 심해 기존 돌봄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전북도는 맞춤형 1:1 방식의 개별 또는 그룹 돌봄을 통해 낮 활동은 물론, 주거와 야간 돌봄까지 연계한 통합형 돌봄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북도 내 11개 시군 20개 기관에서 총 70여 명이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보호자와 이용자 모두 ‘만족한다’는 반응이다. 특히 보호자들은 “홀로 감당하던 돌봄에서 벗어나 일상생활과 휴식을 되찾았다”며 달라진 삶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전주시의 한 보호자는 “자녀의 도전 행동으로 일반 서비스 이용이 어려웠고 오롯이 돌봄을 혼자 감당해왔다”며 “통합돌봄 이후에는 자녀가 기관에서 안전하게 케어를 받는 동안 일을 하거나 쉴 수 있어 삶에 숨통이 트였다”고 말했다. 또 “주말에 자녀가 집에 와도 부담이 훨씬 줄어든 것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도는 이용자의 서비스 필요도에 따라 ▲24시간 개별형(1:1, 주거+낮 활동), ▲주간 개별형(1:1 낮 활동), ▲주간 그룹형(1:1 그룹 낮 활동) 등으로 유형을 나눠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있다. 서비스 신청은 18세 이상 65세 미만 등록 지적·자폐성 장애인이 대상이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전북발달장애인지원센터(063-714-2610)를 통해 가능하다.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등록 발달장애인은 1만4,402명으로 전체 장애인의 약 9%를 차지하며, 이 중 성인(18~64세)은 1만500여 명이다. 이들을 위한 통합돌봄서비스는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시군별로 제공기관을 확대하고 있다.

도는 현재 전주·군산 등 2개소에서 24시간 개별형을, 전주·익산·남원·완주 등 8개소에서 개별형 주간돌봄을, 그리고 전주·김제·무주·임실·진안 등 10개소에서는 그룹형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정읍시는 하반기 공모를 통해 추가 지정할 예정이다.

윤효선 전북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이 사업은 단순한 돌봄 제공을 넘어, 당사자와 가족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전환점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돌봄 사각지대가 없도록 더욱 내실 있는 운영과 촘촘한 지원체계를 갖춰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이 기사는 호남자치뉴스 홈페이지(hnjn.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hnjn.co.kr/article.php?aid=16978933828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9일 23:2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