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으로 물드는 전주’ 전주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시, 초록정원사 양성·정원명소화 등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실현에 속도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2025년 05월 13일(화) 10:21
‘초록으로 물드는 전주’ 전주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2024년 정원산업박람회 황지해 특별초청작가 정원)
[호남자치뉴스]전주시가 시민과 함께 도시 곳곳에 정원을 가꾸며 정원도시 실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올해 정원도시 구축을 위한 4대 핵심사업으로 △초록정원사 양성 △월드컵광장 정원 명소화 △한옥마을 정원산책 프로그램 운영 △시민참여형 공공정원 유지관리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먼저 시는 현재 상반기 초록정원사 기본과정(33명)과 역량강화과정(32명)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더숲과 협력해 하반기 교육도 이어갈 계획이다.

교육과정은 식물 관리와 정원 설계, 현장실습 등 이론과 실습이 병행되며, 정원문화 확산을 이끌 정원사 양성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그 결과 지난 2019년부터 현재까지 총 345명의 초록정원사가 배출됐으며, 이 중 일부는 정원작가와 정원해설사, 정원관리 인력 등으로 활동하며 정원문화를 이끄는 주체로 성장했다.

또한 시는 해마다 정원산업박람회가 개최되는 전주월드컵광장에 현재까지 총 25개의 전문·시민 작가정원을 조성했으며, 이 중 일부는 초록정원사 출신의 시민작가가 직접 설계·시공에 참여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열린 ‘제5회 전주정원산업박람회’에서는 정원해설사와 함께하는 정원 투어와 생태정원 장인인 김봉찬 작가와 함께 걸으며 정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프로그램 등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시는 이를 계기로 정기적인 정원 해설 프로그램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동시에 시는 국가대표 여행지인 전주한옥마을에 초록정원사와 시민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혼불정원 △달빛정원 △윤슬정원 등 6개의 테마정원을 조성했으며, 올해 상반기 중 4개 정원이 추가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지난 3월 21일부터 오는 11월 29일까지 매주 금·토요일 ‘한옥마을 정원산책’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문화·역사·영화·야경 등 주제별 5개 코스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에는 정원해설사가 동행해 시민과 관광객에게 힐링과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가로정원(백제대로, 기린대로)과 마을정원, 쌈지정원 등 연중 관리가 필요한 95개 정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시민 주도의 공동체 기반 정원관리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이 사업은 시민들이 일상 생활권 내에서 꽃과 나무를 함께 가꾸며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어울릴 수 있는 지역 공동체 문화의 정착을 유도하고, 시민이 직접 정원 유지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시는 정원사 활동을 희망하는 일반 시민과 기존에 양성한 ‘초록정원사’를 중심으로 각 동별 ‘마을정원공동체’를 구성하는 한편, 마을공동체와 초록정원사를 연계해 실질적인 정원관리 주체로 성장시킨다는 구상이다.

운영 체계는 시 녹지정원과와 사단법인 더숲, 동별 공동체, 정원사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인 협력 구조를 갖추게 되며, 공동체별로 정원 유지관리 활동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활동 우수 공동체에는 정원문화센터 프로그램 및 초록정원사 교육 참여 우선권 부여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될 예정으로, 시는 성과보고회인 ‘정원쉼포럼’ 등 각종 문화행사를 통해 활동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또, 포상금 지급과 정원관리 재료 지원 등의 실질적 지원도 계획 중이다.

시는 이달 중 초록정원사 간담회를 시작으로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동별 ‘마을정원공동체’를 조직하고, 올 하반기 시범사업을 추진한 뒤 내년부터 마을공동체 활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영섭 전주시 자원순환녹지국장은 “정원은 단순한 녹지 공간을 넘어 이웃과 함께 가꾸는 생활문화로 자리잡아야 한다”면서 “정원도시 전주 실현을 위해 시민이 주도하는 공동체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이 기사는 호남자치뉴스 홈페이지(hnjn.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hnjn.co.kr/article.php?aid=15760371622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4일 05:0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