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귀농·귀촌 활성화 총력… 주거·일자리·정착 지원 패키지 가동 귀농인의 집·체재형 실습농장 등 122개 거주시설 운영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
2025년 02월 21일(금) 10:34 |
![]() |
게스트하우스(무주군) |
전북자치도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귀농인의 집(104개소) ▲체재형 가족실습농장(11개소) ▲게스트하우스(7개소) 등 전국 최다 규모의 임시 거주시설을 운영하며, 이를 통해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안정적으로 농촌 생활을 체험하고 정착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귀농귀촌 유치지원사업의 일환인 ‘귀농인의 집’은 최대 2년간 거주할 수 있으며, 예비 귀농귀촌인들이 직접 농촌에서 생활하며 영농 기술을 익히고 정착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도내 13개 시군(전주시 제외)에서 104개소가 운영 중이며, 순창군이 20개소로 가장 많은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단기 체류형 시설인 ‘게스트하우스’는 예비 귀농귀촌인이 7일 이내 머물며 지역 탐방과 농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됐으며, 현재 정읍 등 7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체재형 가족실습농장’은 최대 2년 동안 거주하며 텃밭을 활용한 농사 실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10개월간 영농교육과 농업창업 실습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완주군과 고창군에서 운영 중이다.
전북자치도는 청년층의 농촌 유입을 확대하고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귀농귀촌 사관학교 지원사업’을 운영한다. 군인, 대학생 등 귀농귀촌을 고민하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귀촌 준비를 돕는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 귀촌인의 활동 거점 마련을 위해 ‘귀농귀촌 둥지마을 조성 사업’도 추진된다. 현재 김제시 대죽마을 등 도내 8개 우수마을이 둥지마을로 지정돼 운영 중이며, 귀촌 청년들의 창업 및 마을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대죽마을은 청년 PD가 귀촌 후 폐가를 활용한 유튜브 콘텐츠(구독자 30만 명)를 제작하고, 빈 상가를 개조해 카페를 운영하면서 방문객 증가 및 창업이 활성화되는 등 성공적인 청년 귀촌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귀농귀촌 활성화 지원사업’에 24억 원을 투입한다. 이 사업을 통해 귀농체험학교 운영, 마을 환영회 개최, 동아리 활동 지원 등을 추진해 지역사회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정착률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농촌 일자리 연계를 통한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전북특별자치도 농어업 일자리플러스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귀농귀촌인의 농촌 일자리 탐색 및 취업 연계를 지원해 안정적인 소득 기반 마련을 돕는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귀농귀촌 정책을 통해 예비 귀농귀촌인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농촌 활력 증진을 동시에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맞춤형 주거·일자리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확대해 “살고 싶은 전북 농촌, 정착하고 싶은 농촌”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최재용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귀농귀촌인은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중요한 인적 자원”이라며 “도시민들이 전북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주거·교육·일자리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