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 농촌소멸대응, 마을단위 공간빅데이터 구축 시급 농촌공간계획 제도 성공적 도입을 위해 전북자치도 농촌마을 공간빅데이터 구축 및 관련 지침에 반영 필요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 |
2024년 12월 17일(화) 09:33 |
농촌소멸대응 마을단위 공간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이 시작점 |
전북연구원은 17일 이슈브리핑 313호 ‘농촌소멸대응, 마을단위 공간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이 시작점’을 통해 전북자치도 농촌마을(행정리 5,212개)의 지난 20여 년간 인구와 가구 수 변화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농촌소멸 대응책을 제시했다.
이슈브리핑에서는 ‘50인 미만 소형마을’수가 2000년 686개에서 2022년 1,601개로 약 2.3배 증가, ‘유소년이 없는 마을’은 215개에서 1,094개로 5배 이상, ‘고령화비율 50% 이상 한계마을’은 69개에서 1,328개로 약 19배로 폭증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또한, 지난 20년간 마을의 인구는 ‘50% 이상 감소한 마을’이 647개(12.4%), ‘25이상~50%미만 감소한 마을’은 2,614개(50.3%)이며 을의 농가수는 ‘40%이상 감소한 마을’이 2,733개(53.6%)에 이른다는 전북자치도의 농촌소멸 실태를 구체적인 수치로 보여줬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방소멸대응 차원에서 농촌공간 대전환을 목표로 ‘농촌공간계획’이라는 야심찬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농촌을 숲의 시야에서만 접근하고 숲속의 나무라 할 수 있는 농촌마을의 실상에 대한 세세한 접근이 없다’면 기존 정책 이상의 성과를 얻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현 정부가 지방소멸대응으로 농촌공간계획을 도입하는 시점에서 전북자치도의 농촌에 대한 현황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농촌 마을단위의 공간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방침’에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여기서 ‘농촌 마을단위 공간빅데이터’란 농촌마을 경계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기본도로 하여 마을의 인구, 가구, 주택 등 기초자료와 농업, 경제, 자원, 교통 등 다양한 분야의 현황자료를 공간DB화한 자료를 말한다.
연구책임을 맡은 임승현 선임연구위원은 “분석 결과로 제시된 행정리 단위의 농촌마을 이외에 자연마을 단위의 공간빅데이터도 함께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전북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구축한 도시지역의 기초행정구역인 행정통반 경계지도를 기본도로 하여 도시 내 소지역 공간빅데이터를 구축, 도시재생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원희 기자 lwh6494@hanmail.net